섬뜩한 ‘로봇 전쟁’ 시대…中 ‘로봇늑대’ 인간 합동훈련 투입 / 미군, 2026년까지 모든 분대에 드론 배치한다
페이지 정보

본문
섬뜩한 ‘로봇 전쟁’ 시대…中 ‘로봇늑대’ 인간 합동훈련 투입 /
미군, 2026년까지 모든 분대에 드론 배치한다
중국 인민해방군 훈련에 투입된 ‘로봇늑대’ 모습. CCTV 캡처
인간과 4족 보행 로봇이 한 팀이 돼 전장에서 싸우는 상황이 현실로 다가왔다. 최근 중국 영자 매체 글로벌타임스는 중국의 ‘로봇늑대’가 인민해방군 훈련에 투입된 장면이 처음으로 언론에 공개됐다고 보도했다.
중국중앙TV(CCTV)에 모습을 드러낸 로봇늑대는 4족 보행 로봇을 말한다. CCTV에 따르면 이번 훈련은 초원지대에서 진행됐는데, 병사들은 QBZ-191 돌격소총, QBU-191 저격소총, 그리고 휴대용 로켓 발사기로 무장했으며 로봇은 정찰용 장비를 탑재한 채 함께 훈련에 투입됐다. 또한 풀밭에 숨어있던 드론 조종사들은 1인칭 시점(FPV) 드론으로 정찰 및 자폭 공격 임무를 함께했다.
훈련에 참여한 한 병사는 “이번 훈련은 직접 로봇늑대를 지휘하고 운용하는 첫 번째 기회였다”면서 “초급 부대들은 새롭게 배치된 무인 장비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인간과 통합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현지 언론은 이 훈련은 전통적인 보병 공격 전술을 기반으로 드론과 로봇늑대와 같은 무인 시스템을 통합해 정찰, 목표에 대한 정밀 타격, 돌격 작전으로 이루어졌다고 분석했다.
지난해 5월 캄보디아와의 훈련에서 등에 소총을 달고 걸어가며 총탄을 발사하는 중국 4족 보행 로봇. 영상 캡처
섬뜩한 ‘로봇 전쟁’ 시대…中 ‘로봇늑대’ 인간 합동훈련 투입
보도에 따르면 로봇늑대 무게는 약 70㎏으로 정찰, 수송, 지원은 물론 공격도 가능하다. 군사 전문가 푸첸샤오는 글로벌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지상 로봇을 전투에 투입하는 것은 공중 드론보다 훨씬 효과적이고 강력할 수 있다”면서 “병사들이 인간이 아닌 로봇과 마주칠 때 심각한 심리적 스트레스를 경험할 수 있다”고 밝혔다. 앞서 지난해 5월에도 CCTV는 중국군과 캄보디아군과의 합동 군사훈련에 참여한 4족 보행 로봇을 공개한 바 있다. 당시 영상에도 정찰 기능을 수행하는 로봇의 모습이 담겼는데, 특히 등에 소총을 달고 걸어가며 소총을 쏘는 장면이 담겨 충격을 안겼다.
한편 소총을 장착한 4족 보행 로봇을 테스트 중인 것은 중국만이 아니다. 지난해 미 해병대 특수전사령부(MARSOC) 역시 소총으로 무장한 ‘로봇개’를 테스트했는데, 사람과 드론, 차량과 같은 잠재적 표적을 자동으로 탐지하고 추적할 수 있는 AI 지원 디지털 이미징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다만 최종적으로 소총을 발사하는 것은 사람이 결정할 수 있다.
박종익 기자 / 나우뉴스, 2025-07-20
-------------
<관련기사>
机器人工业场景应用:核电人形机器人产业链布局解析
(知乎专栏, 2025. 7. 10)
=============
러우전쟁의 교훈: 미군, 2026년까지 모든 분대에 드론 배치한다[김형석의 최신 드론 리포트]
한성대학교 국방과학대학원 교수 김형석
개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은 현대 전장에서 소형 무인항공시스템(UAS)의 역할을 명확히 보여주고 있다.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양측은 상업용 드론을 군사 목적으로 개조하여 정찰, 감시, 표적 지정, 직접 공격 등 다양한 임무에 활용했다. 특히 주목할 점은 수십만원에서 수백만원 수준의 저비용 드론들이 수천만 원 또는 수억 원 가치의 탱크, 장갑차, 레이더 시설 등 고가 무기체계를 무력화시켰다는 사실이다. 또한 대량 다종의 소형 드론을 동시에 운용하는 초기 개념의 군집 전술을 통해 기존 방공 체계를 압도하고 있다.
이러한 전장 혁신은 미군 지도부에게 근본적인 패러다임 전환의 필요성을 인식시켰다. 전통적으로 고가의 정밀 무기 체계에 의존해 온 미군의 전력 구조가 저비용 대량 운용 체계에 의해 도전받을 수 있다는 현실에 직면했다. 더욱이 중국과 러시아 등 경쟁국들이 이미 드론 기술과 대량 생산 능력에서 상당한 수준에 도달했다는 사실이 위기감을 증폭시켰다.
이에 따라 이전 행정부는 2023년 리플리케이터(Replicator, 대량생산) 이니셔티브를 발표했다. 이 프로그램은 18~24개월 내에 수천 대의 자율 시스템을 신속하게 대량 생산하여 배치하는 것을 목표로 했으며, 중국의 대규모 군사력에 대응하기 위해 ‘수량으로 질을 압도한다’는 개념을 도입했다.
그러나 기존 시스템의 구조적 한계들이 개혁을 제약했다. 2025년 초 정부회계감사원(GAO, Government Accountability Office) 보고서는 국방혁신부(DIU, Defense Innovation Unit)가 명확한 성과 목표를 설정하지 않아 효과를 평가하기 어려웠다고 지적했다. 방산업체들은 블루 UAS 목록 등재 기준이 불명확하고 일관성이 없다고 불만을 제기했다. 또한 복잡한 국방 조달 체계와 항공우주 정책 규제로 인해 UAS 개발과 훈련에 상당한 제약이 있었다.
정부회계감사원(GAO) 보고서 (https://files.gao.gov/reports/GAO-25-106856/index.html)
이러한 문제점들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미국 국방부(DoD, Department of Defense)는 2026년 말까지 모든 분대에 “저비용, 소모성” 무인항공시스템을 충분히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대대적인 정책 개혁을 추진한다. 이번 개혁의 권한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2025년 6월 6일 서명한 백악관 행정명령에서 나왔다.
피트 헤그세스(Pete Hegseth) 국방장관은 “제 의도는 전투에서 적을 물리치기 위해 이 능력을 활용할 수 있는 모든 부대에 다양한 그룹 1 및 2, 즉 소형 UAS를 신속하게 확산시키는 것”이라고 밝혔다. 여기서 그룹 1 및 2 UAS는 무게 25kg(55파운드) 미만, 고도 1,067m(3,500피트) 이하에서 비행하는 소형 드론을 의미한다. 메모에 따르면, 훈련 사령부와 작전 부대는 이제 “24시간 수정을 촉진할” 권한을 갖게 되었다. 이는 기존의 복잡한 승인 절차를 거치지 않고도 신속하게 드론 시스템을 개선하고 수정할 수 있는 권한을 의미한다.
핵심 개혁 내용
조달 체계 개혁이 가장 먼저 이루어진다. 지휘관을 위한 새로운 조달 권한을 부여하고 “제한적인" UAS 정책 제거를 위한 지침을 마련한다. 또한 지속적 적응 모델(Continuous Adaptation Model)을 채택하는데, 이는 반복적 상업 구매, 광범위한 최소 요구사항, 시스템 모듈성, 신속한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새로운 성능 지표를 포함하는 5단계 프로세스다.
훈련 및 운영 체계도 전면 개편된다. 2027년까지 부서 전체의 주요 훈련 행사에 UAS를 의무적으로 통합해야 한다. 이를 위해 “깊이 있는 UAS 훈련을 위한 다양한 지형(최소 하나의 수상 지역 포함)”을 갖춘 3개의 국가 훈련장을 설치할 예정이다.
블루 UAS 목록 관리 체계가 대폭 개선된다. 블루 UAS 목록은 국방혁신부가 관리해온 목록으로, 국방부가 구매할 수 있도록 승인된 무인 시스템들을 등재한 공식 명단이다. 관리 주체가 2026년까지 DIU에서 국방계약관리청(DCMA, Defense Contract Management Agency)으로 이관된다. 각 군이 목록 후보의 순위를 매길 수 있어 일부 시스템이 검토에서 우선권을 획득하게 된다. 투명성 강화를 위해 공급업체 평점 시스템을 개발하고 검토 과정의 발견사항 정보를 공개한다. 운영 방식은 “신뢰하되 검증하는 시스템”으로 전환하여 샘플링을 통해 DoD 공급업체들의 법적 요구사항 충족 여부를 확인한다.
산업 기반 강화를 위한 종합적 접근이 이루어진다. 상업 기술 활용을 확대하여 국방부는 상업 기술 회사들이 DoD에 UAS를 더 쉽게 판매할 수 있도록 정책을 변경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제3자 규정 준수 확인 체계를 도입했다. 정부 기관 간 협력도 강화되는데, 비용평가프로그램평가(CAPE, Cost Assessment and Program Evaluation)는 60일 이내에 “UAS로 대체될 경우 더 비용 효율적이거나 치명적일” 프로그램들을 식별한다. 정부효율성부(DOGE, Department of Government Efficiency)는 미국 산업 기반 성장을 위한 인센티브 옵션을 30일 내에 제공하며, 여기에는 선구매 약정과 직접 대출 등의 방안이 포함된다.
[미국 국방부 UAS 획득 개혁 핵심 내용]
맺음말
이번 개혁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서 입증되고 있는 소형 드론의 전술적 중요성을 반영하여 미군의 무인항공시스템 운용 능력을 근본적으로 강화하려는 종합적 정책 변화다.
조달 권한 확대부터 블루 UAS 목록 개편, 산업 기반 강화에 이르기까지 전 분야에 걸친 체계적 개혁을 통해 2026년까지 모든 소부대가 소형 드론을 운용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고자 한다.
특히 상업 기술과의 연계 강화, 규제 완화, 투명성 제고 등을 통해 그동안 지적되어온 획득 과정의 비효율성과 불투명성을 해결하려는 의도가 명확히 드러나며, 이는 미군의 미래 전투 능력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
BEMIL 군사세계 / 조선일보, 2025-07-17
-------------
<관련기사>
Hegseth orders military to ‘unleash’ use of small drones in new memo
"While global military drone production skyrocketed over the last three years, the previous administration deployed red tape. US units are not outfitted with the lethal small drones the modern battlefield requires," Hegseth wrote
(By Ashley Roque / Breaking Defense, July 10, 2025)
Hegseth orders military to 'unleash' use of small drones in new memo - Breaking Defense
- 이전글고차방정식으로 풀어야 할 '전작권 전환' [밀리터리 월드] / House Panel OKs FY 2026 Defense Authorization Bill 25.07.21
- 다음글전공의 복귀에 의무사관 편입시기 조정…입영유예도 검토 / 병무청공고 제2025-92호, 「병역법 시행령 일부개정령안 입법예고」(2025-07-17) 25.07.19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