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4년만의 문민장관 앞둔 국방부, '1급 여성 직위자' 나올지 주목된다 / 국방부 ‘첨단전력기획관’, 군 대신 민간이 맡는다……
페이지 정보

본문
64년만의 문민장관 앞둔 국방부, '1급 여성 직위자' 나올지 주목된다 /
국방부 ‘첨단전력기획관’, 군 대신 민간이 맡는다…李대통령 지시 반영
[서울=뉴스핌] 김종원 국방안보전문기자 = 64년 만의 문민 국방부 장관 취임을 앞두고 있는 국방부에 첫 여성 1급(고위공무원단 가급) 직위자가 나올지 주목된다.
이재명정부 들어 국방부 외청인 병무청장에 홍소영 첫 여성청장이 취임했다. 그동안 군 출신들이 요직을 차지했던 국가보훈부도 강윤진 첫 여성 차관이 취임했다.
김진아 외교부 2차관도 3연속 여성 차관 기록을 세웠다. 통일부도 지난 정부에서 김수경 첫 여성 차관을 배출했다.
[서울=뉴스핌] 최지환 기자 = 안규백 국방부 장관 후보자가 27일 오전 서울 용산구 육군회관에 마련된 인사청문회 준비 사무실로 출근하며 취재진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2025.06.27 choipix16@newspim.com© 뉴스핌
여기에 더해 50만 대군을 이끄는 국방부에서도 차관급 바로 아래 1급 직위에 여성이 나올지 초미의 관심사다. 일단 현재까지는 여성 1급 탄생이 유력해 보인다.
21일 정부 소식통에 따르면 현재 비어 있는 국방부 인사복지실장에 여성 공무원인 김신숙(행시 44회) 예비전력정책관과 김은성(행시 44회) 보건복지관 등이 거론된다.
그 외 국방부 1급 직위인 기획조정실장과 국방정책실장, 자원관리실장도 대부분 교체될 것으로 보인다.
그동안 국방부에서는 유균혜(행시 39회·고위공무원단 나급) 군인권개선추진단장이 1996년에 5급 사무관으로는 처음으로 금녀(禁女)의 벽을 깨고 임용됐다.
국방부 여성 공무원 비율은 빠르게 늘어 지난해 중앙부처 평균인 40.3%(일반직 기준)보다 높은 49.7%로 거의 50%에 육박하고 있다.
국방부는 12·3 불법 비상계엄 여파로 지난해 11월 후반기 군 장성 정기 인사 이후 모든 인사가 정지된 상태다.
대한민국 해군 역사상 첫 여군 심해잠수사(SSU)가 나왔다. 문희우(27) 해군 대위(진)가 2024년 8월 30일 여군 첫 해난구조 기본과정을 수료하며 심해잠수사가 됐다. [사진=해군]© 뉴스핌
안 후보자가 조만간 국방장관으로 취임하게 되면 그동안 미뤄졌던 주요 군 인사를 비롯해 국방부와 소속 기관에 대한 대대적인 인사가 예상된다.
국방부는 50만 대군(大軍)을 이끄는 정부 속의 정부다.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부처 이름이 한 번도 바뀌지 않은 곳은 국방부와 법무부뿐이다. 그만큼 보수적이고 전통을 중시하며 전문성이 필요한 부처다.
그동안 군인 출신들이 주요 보직을 맡아왔다. 하지만 이제는 국방부도 여성 엘리트 파워가 거세지고 있다. 각 분야 전문성을 갖춘 국방과 통일, 외교 분야 고위직 공무원으로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여군 비율은 모든 병과 개방 이후 10년이 지난 2024년 기준으로 여군 장교·부사관 비율이 창군 이래 처음으로 10.8%(1만9200여 명)를 넘어섰다. 특히 여군 장교 비율은 12.6%(7600여 명)를 기록했다. 국방부는 오는 2027년까지 군 장교·부사관 중 여군 비율을 15.3%로 확대할 계획이다.
국방부와 일선 군에서도 여군 장성과 지휘관, 부사관들의 활약이 거세질 것으로 보인다.
김종원 국방안보전문기자 kjw8619@newspim.com / 뉴스핌, 2025-07-23
--------------
국방부 첨단전력기획관, 군 대신 민간이 맡는다…李대통령 지시 반영
[서울=뉴스핌] 군 장성급 인사가 맡아오던 국방부 첨단전력기획관 자리가 앞으로는 일반직 고위공무원으로 채워질 예정이다.
대통령실은 22일 국무회의에서 이 내용을 담은 '국방부와 소속기관 직제 대통령령 일부 개정안'이 수정·의결됐다고 밝혔다.
대통령실은 "지난주 국무회의 당시 첨단전력기획관에 장성을 임명하는 것을 재검토하라는 대통령의 지시가 있었다"고 전했다.
이어 "논의 결과 국방과학기술 혁신 업무를 수행하는 직위의 특성을 고려, 일반직 고위공무원으로만 기획관을 임명하게 하고 이에 필요한 고위공무원 정원을 1명 증원하는 내용으로 대통령령을 수정해 의결했다"고 설명했다.
대통령실 청사 [사진=뉴스핌DB]© 뉴스핌
첨단전력기획관은 국방과학기술 중·장기 정책을 담당하는 직위로, 그간 군 장성이 임명돼 왔다. 해당 조직은 윤석열 정부 시절인 2023년 한시적으로 2년간 설치됐으며, 오는 25일 존속 기한이 만료될 예정이었다.
이에 정부는 해당 조직의 존속 기간을 2027년까지 2년 연장하는 내용의 개정안을 마련했으나, 이 대통령은 지난주 국무회의에서 "군 출신, 장성이 아니어도 된다면 민간 출신이 가는 게 더 효율적인 것 아니냐"면서 재검토를 지시했다.
박성준 기자 parksj@newspim.com / / 뉴스핌, 2025-07-23
-------------
<관련자료>
국방부 조직도 (2025-07-23 현재) / 전력정책국 - ‘첨단전력기획관’
국방부 조직도 (2025-07-23 현재) / 전력정책국 - ‘첨단전력기획관’
- 이전글전시 비상상황의 숨은 주역, 지자체 병무담당 / 병역법[시행 2024. 8. 7] [법률 제20191호, 2024. 2. 6, 일부개정] 25.07.23
- 다음글미, 중국과 태평양 분쟁시 참전요구… 부담 커지는 한국 / Hegseth, Philippine President Meet to Advance Deterrence in Indo-Pacific 25.07.23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