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해복구 지원, 국민의 군대 팔 걷었다
페이지 정보

본문
수해복구 지원, 국민의 군대 팔 걷었다
범정부 복구지원대책본부 가동
국방부, 호우 대응 상황점검회의 개최
광주·충남 중심 누적 1400여 명 지원
필요장비 구비 등 안전 확보에 최우선
이 대통령, 특별재난지역 조속 선포 지시
집중호우 피해 복구를 위해 나선 육군32보병사단 장병들이 가슴장화를 비롯한 안전 장구와 효율적인 지원에 필요한 복구 장비를 갖추고 19일 충남 아산시 곡교천 인근 마을에 투입되고 있다. 한재호 기자
전국을 휩쓴 집중호우로 다수의 인명·재산피해가 발생한 가운데 정부가 복구지원대책본부를 가동하는 등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우리 군도 피해 지역 복구를 돕기 위해 두 팔을 걷어붙였다.
국방부는 20일 재난대책본부장인 이갑수 군수관리관 주관으로 호우 대응 상황점검회의를 개최했다. 회의 참석자들은 각 부대 인근 상황과 연계해 피해 복구 지원에 필요한 요소들을 점검했다. 국방부는 전날에도 상황점검회의를 열고 경남 산청군에서 발생한 산사태 등으로 피해를 본 지역 주민을 돕는 방안을 논의했다.
일선 부대 움직임도 바빠지고 있다. 육군2작전사령부(2작전사) 직할부대와 31·32보병사단은 이날 광주광역시와 충청남도를 중심으로 수해 복구 지원에 나섰다. 850여 명의 장병이 광주 북구와 충남 아산·서산시, 예산군 일대 침수 지역에서 민가와 상가 안에 쌓인 흙·모래를 걷어내고 가재도구 정리를 도왔다. 2작전사는 “많은 비가 내리기 시작한 지난 17일부터 이날까지 복구지원에 나선 장병 누적 수는 1400여 명”이라고 전했다.
각 부대는 호우 피해복구 및 대민지원 지침에 따라 장병 안전에도 각별히 관심을 쏟았다. 대대장급 이상 지휘관이 사전 안전성 평가를 하고, 장병들이 필요한 물자나 안전장비 등을 갖추도록 했다. 또 지원 현장에 의무인력을 배치하고, 50분 지원 후엔 10분 휴식을 취하도록 했다. 부대로 복귀한 뒤에는 장병들의 샤워와 옷세탁을 보장하고, 군의관이 건강 상태를 확인하도록 했다.
정부도 피해 최소화를 위해 온 힘을 다하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은 20일 호우 피해 상황을 신속히 파악하고, 큰 피해를 본 지역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조속히 선포하는 방안을 추진하라고 지시했다. 김민석 국무총리는 이날 집중호우 피해를 본 광주 북구 신안동 침수 현장을 찾아 주민들을 위로했다.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은 정부세종청사에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를 열고 “행안부와 관계부처, 피해지역 지자체는 가용한 자원을 총동원해 신속한 응급복구를 실시하겠다”고 밝혔다.
병무청은 집중호우로 병역의무자 본인 또는 가족 등이 피해를 본 경우 병역의무이행을 연기할 수 있게 했다. 연기 기간은 병역(입영)판정검사 또는 입영(소집) 일자로부터 60일 범위 내다. 연기 사유가 해소된 경우 가까운 일자에 입영할 수 있다. 동원훈련은 재입영훈련 또는 동원훈련Ⅱ형으로 전환된다. 대상자는 병역판정검사, 현역병 입영, 사회복무요원·대체복무요원 소집, 병력동원훈련 소집 등 통지서를 받은 사람 중 본인·가족이 피해를 본 사람이다.
최한영·김해령 기자 / 국방일보, 2020-07-20
- 이전글미, 중국과 태평양 분쟁시 참전요구… 부담 커지는 한국 / Hegseth, Philippine President Meet to Advance Deterrence in Indo-Pacific 25.07.23
- 다음글이탈리아 청년 10명 중 8명 “나라 위해 싸우지 않겠다” / Se ci fosse una guerra solo il 14% sarebbe disposto a combattere 25.07.2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