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우크라, 세번째 협상도 큰 성과 없이 끝 / В Стамбуле прошел третий раунд переговоро…
페이지 정보

본문
러시아-우크라, 세번째 협상도 큰 성과 없이 끝 /
В Стамбуле прошел третий раунд переговоров между Россией и Украиной
23일(현지시간) 튀르키예에서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3차 고위급 협상이 개최되고 있다. © 로이터연합뉴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가 세 번째 고위급 협상에 나섰지만 이번에도 종전을 위한 돌파구는 찾지 못한 채 헤어졌다.
23일(현지시간) 로이터 통신 등에 따르면 양국 대표단의 회담은 이날 오후 8시쯤 튀르키예 이스탄불 츠라안궁전에서 시작해 오후 9시가 조금 지나 종료됐다. 러시아 관영 타스 통신은 협상이 약 40분 간 진행됐다고 전했다.
러시아 협상단장인 블라디미르 메딘스키 러시아 크렘린궁 보좌관은 협상 자리에서 양측이 전쟁포로 추가 교환과 억류된 민간인 교환 등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다만 양측은 휴전 방안이나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 간 정상회담에 대해서는 합의를 이루지 못했다. 우크라이나 협상대표인 루스템 우메로우 우크라이나 국가안보국방위원회(NSDC) 사무총장은 협상에서 8월 내 양국 정상회담 개최를 제안했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메딘스키 보좌관은 정상회담 전에 많은 논의가 이뤄져야 하고 철저한 준비 기간이 필요하다며 선을 그었다.
메딘스키 보좌관은 지난번 2차 협상 때 양국이 분쟁 해결안을 담은 각서를 교환한 것과 관련해서도 “오랜 기간 논의했는데, (양측) 입장이 상당히 다르다”며 “대표단과 실무진 차원에서 접속을 계속하기로 뜻을 모았다”고 말했다. 메딘스키 보좌관은 4차 회담이 열리기를 희망한다면서도 구체적인 계획을 제시하진 않았다.
양국의 이번 만남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최근 이례적으로 러시아를 압박한 이후 이뤄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4일 우크라이나에 새 무기 제공을 약속하는 한편, 50일 내로 양국이 휴전 합의를 하지 않으면 러시아 교역국에 고율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경고했다.
우크라이나와 러시아는 지난 5월16일과 6월2일 두 차례에 걸쳐 고위급 회담을 개최한 바 있다. 러시아는 우크라이나에 크림반도 포함 러시아 점령지 양도와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가입 포기를 요구하고 있어 양국 간 이견이 큰 상황이다.
조문희 기자 moony@kyunghyang.com / 경향신문, 2025-07-24
--------------
"이스탄불서 열린 러·우 3차 고위급 협상 40분만 종료“
[이스탄불=AP/뉴시스]23일(현지 시간) 튀르키예 이스탄불에서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3차 협상에 참석하기 위해 루스템 우메로프(가운데 오른쪽) 우크라이나 국방장관 등이 츠라안궁에 도착해 걸어가고 있다. 2025.07.24.© 뉴시스
튀르키예 이스탄불에서 23일(현지시간) 열린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3차 고위급 협상이 종료됐다고 타스통신이 보도했다.
통신은 소식통을 인용해 이같이 전했다. 회담은 이날 현지 시간 오후 8시 37분께 시작돼 약 40분 만에 끝났다.
소식통에 따르면 양 측은 군 뿐만 아니라 민간인 포로도 교환하기로 합의했다.
차기 협상인 4차 고위급 협상은 새로운 합의가 이행된 후 실시될 것이라고 통신은 전했다.
이날 앞서 드미트리 페스코프 크렘린궁 대변인도 이날 이스탄불에서 우크라이나와의 3차 협상이 열릴 것이라며 "대부분 의제는 2차 협상에서 교환된 각서 초안에 초점이 맞춰질 것"이라고 밝혔다. 각서에는 "정반대"의 내용도 담겨 양 측이 해야할 일이 많다고 말했다.
그는 "아무도 일이 순조롭게 진행될 것이라고 기대하지 않는다"며 "의심할 여지 없이 매우 어려운 협상이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각서 초안이 "첨예하게 상반된다"고 덧붙였다.
러시아와 지난달 2일 협상에서 우크라이나에 평화각서 초안을 제시했다. 우크라이나군이 완전 철수하면 30일 휴전에 돌입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또 ▲제3국 군사 활동 및 군사 인프라 배치 금지 ▲우크라이나의 대러시아 파괴 행위 및 전복 활동 포기 ▲우크라이나 무기 및 군사 지원 중단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가입 금지 ▲크름반도 및 4개 점령지 국제법적 인정 등 요구도 담겼다.
우크라이나로선 받아들이기 힘든 조건들이어서 진전을 보이지 못했다.
양측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한 달 만인 2022년 3월 고위급 회담을 한 뒤 일절 대화를 하지 않았다. 3년 2개월 만인 지난 5월 16일 이스탄불에서 다시 만났고, 지난달 2일 2차 회담을 했다.
김예진 기자 / NEWSIS, 2025-07-24
--------------
<관련기사>
(Александр Рюмин / ТАСС, 24 июля, 2025)
В Стамбуле прошел третий раунд переговоров между Россией и Украиной. Главное о встрече
- 이전글전투기까지 등장…태국·캄보디아 교전 ‘격화’ / 태국군(타이 왕립군) vs. 캄보디아군(캄보디아 왕립군) 군사력 비교 25.07.25
- 다음글‘평시 특별진급’ 대상 최고 계급 ‘중령→대령’ 상향 / 국방부공고 제2025-249호, 「군인사법 시행령 일부개정령안」 (2025-07-18) 25.07.23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